티스토리 뷰

반응형

티스토리의 추적 ID는 구글 애널리틱스의 측정 ID를 의미하며, ID는 G-로 시작하는 코드이다.

 

Photo by Lukas Blazek on Unsplash

 

티스토리에서는 추척 ID를 넣으라는데, 구글 애널리틱스에는 추척 ID가 아무리 찾아도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여기저기 검색해봤는데, 구글 애널리틱스 홈페이지가 그 사이 리뉴얼을 했는지 예전 버전 인터페이스를 기준으로 설명을 해주고 있어서 나처럼 헤매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블로그를 쓰게 되었다. 티스토리에서 입력하라는 구글 애널리틱스의 추적 ID는 구글 애널리틱스의 측정 ID를 의미하며 이는 G-로 시작하는 코드이다. 하단의 스크린 캡쳐 이미지들과 함께 어떻게 코드를 찾아가야 하는지를 공유해보려고 한다.

 

아래의 설명들은 구글 애널리틱스에 이미 가입되어있는 회원 기준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구글 애널리틱스에 먼저 가입을 한 뒤 아래의 스텝을 밟는 것을 추천한다.

 

 

 

1.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 > 플러그인 메뉴 > 구글 애널리틱스 선택

 

티스토리 스크린 캡쳐

 

 

 

2. 설정 방법 1번의 [설정하러 가기] 링크 버튼 선택

티스토리 스크린 캡쳐

 

 

 

3. 구글 애널리틱스 페이지로 이동

구글 애널리틱스 스크린 캡쳐

이 페이지에서는 3개의 스텝에 따라 입력하라는 것들을 입력해주면 된다.

 

 

 

4. 속성 메뉴의 데이터 스트림 메뉴 선택

구글 애널리틱스 스크린 캡쳐

 

 

 

5. 우측 상단쪽의 [스트림 추가] 버튼 선택

구글 애널리틱스 스크린 캡쳐

위의 사진은 내 블로그가 이미 등록된 상태라, 내 블로그가 노출되고 있는 것이다. 우측 상단의 [스트림 추가] 버튼을 누르면 3개의 선택지가 나오는데, 티스토리 블로그 이용자인 경우, [웹] 선택지를 선택해주면 된다.

 

 

 

6. 웹사이트 URL, 스트림 이름 입력

구글 애널리틱스 스크린 캡쳐

 

 

 

7. 추가된 스트림을 선택한다.

구글 애널리틱스 스크린 캡쳐

 

 

 

8. 우측 상단의 측정 ID를 복사한다.

구글 애널리틱스 스크린 캡쳐

 

 

 

9. 티스토리로 돌아와서 추척 ID 입력 필드에 코드를 붙여 넣고 [변경사항 적용] 버튼을 선택한다.

티스토리 스크린 캡쳐

 

 

 

10. 잠시 후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글 애널리틱스 스크린 캡쳐

위의 사진은 데이터가 좀 쌓인 상태에서 캡처했기 때문에 과거의 기록도 남아있는 모습이다. 연동 후, 블로그를 켜놓고 있으면 활성 사용자수가 1로 올라간다고 하는데 나는 이 부분은 따로 확인하지 못하고 며칠 후에 확인해서 데이터가 쌓여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된 구글 애널리틱스로 인해서 티스토리 연동에 어려움과 당혹스러움을 겪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반응형